0.1.1 보안 vs 보호 보안 保安 Security 1. 안전을 유지함 2.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함 보호 保護 Protection 1. 위험이나 곤란 따위가 미치지 아니하도록 잘 보살펴 도움 2. 잘 지켜 원래대로 보존되게 함 0.1.2 정보 보호 vs 정보 보안 정보 보안(Information Security) 컴퓨터/네트워크로 확대, 발전하는 정보환경에서 모든 정보자원(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데이터 등)을 위/변조, 유출, 훼손 등과 같은 정보보안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것. 기업의 영업비밀이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, 위협이 되는 정보의 유출, 도청, 파괴 등의 행위에 대응하는 것 정보보호를 위해 동원되는 수단 정보 보호(Information Protection)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통한 정보의 손상, 변형, 파괴시키는 행위로부터 정보를 보호하고 무결성, 기밀성, 가용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 정보가 남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(목표) 0.1.3 Availability보안의 3요소(C.I.A) 1. 기밀성(Confidentiality)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가 또는 개체가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것. a. 위협 요소 : 도청, Shulder surfing, 도난 등 b. 적용 기술 : 암호화, 네트워크 트래픽 통제 등 2. 무결성(Integrity) 자산이 인가된 당사자에 의해서, 인가된 방법으로만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것. a. 위협 요소 : 트로이 목마, 바이러스 등 b. 적용 기술 : 전자 서명, 바이러스 백신, hash 함수를 이용한 공개키 3. 가용성(Availability) 자산이 적절한 시간에 인가된 당사자에게 접근 가능해야 하는 것. a. 위협 요소 : Dos, DDoS 공격 등 b. 적용 기술 : 백업, HA 클러스터링 등 0.1.4 보안 위협 요소 1. 해커(또는 크래커) 시스템의 약점을 노려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 시스템에서 정보를 빼내 경쟁사에 돈을 받고 팔기도 하고, ...